"선택과 집중, 내실 강화" 강조… 시민 교통 편의·안전 대책·산업 육성까지 총력
![이장우 대전시장(오른쪽 2번째)이 주간업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전시청]](https://cdn.goodkyung.com/news/photo/202509/272422_241593_1253.jpg)
이장우 대전시장이 15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유성복합터미널의 2026년 1월 1일 조기 완공을 지시하며 AI·에너지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전략적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동시에 홍수·태풍·폭염 등 기상 이변에 대비한 지역 맞춤형 안전 대책을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 유성복합터미널, 단순 환승 넘어 '미래형 교통·문화 허브' 구상
유성복합터미널은 오랜 기간 지연 논란을 겪으며 대전 시민들의 불편과 불신이 누적된 사업이다. 당초 2019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민간사업자 재선정과 행정 절차 지연 등으로 수차례 일정이 미뤄졌다. 이 과정에서 터미널 부지 방치, 인근 상권 침체, 교통 불편 심화 등이 시민 피해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 시장은 "2026년 1월 1일 개통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며 조기 완공을 주문했다. 시는 터미널을 단순 버스 환승 공간을 넘어 ▲쇼핑몰 ▲공연장 ▲시민 광장 등 복합문화시설을 포함하는 ‘미래형 교통·문화 허브’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기차 초급속 충전소 ▲공유 자전거 및 퍼스널 모빌리티 연계 ▲친환경 대중교통 환승체계 등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교통 인프라로 발전시키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친환경 교통 허브화’가 기후 위기 대응과 시민 편의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한다.
◇ AI·에너지 산업, 대전 신성장 전략으로 부상
이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AI와 에너지를 전략 산업군으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KAIST, ETRI 등 세계적 연구기관이 집적된 지역 특성을 활용해 ▲AI 연구개발 지원 ▲글로벌 인재 유치 ▲에너지 전환 산업 육성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는 AI 특화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조성해 기업 지원과 인재 양성에 투입하고 수소·태양광·ESS 등 미래 에너지 분야와 연계해 신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의 R&D 인프라를 AI와 에너지 전환 전략에 결합하면 국가 차원의 혁신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기후 위기 시대, 지역 맞춤형 안전 대책 강화
자연재해 대응과 관련해 이 시장은 “시민 안전이 최우선”이라며 대전 지형과 기후 특성에 맞춘 맞춤형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대전은 하천 유역 침수와 국지성 호우, 폭염·한파 등 복합적 재해 위험에 노출돼 있다. 시는 이를 고려해 ▲홍수 방재 시설 확충 ▲지능형 기상 예측 시스템 도입 ▲자치구·소방·경찰 협력체계 강화 등 세부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 선택과 집중 통한 재정 효율성 확보
이 시장은 2026년도 예산 편성 방향과 관련해 "모든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 꼭 필요한 사업만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재정 압박이 심화되는 가운데 선택과 집중 원칙을 통해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 사업에 우선 투자하고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줄여 재정 건전성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성복합터미널 조기 완공은 시민 교통 편의와 지역 상권 회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이다. 그러나 민간사업자와 시의 협약 구조, 공사 지연 리스크, 운영 재정 부담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AI·에너지 전략 육성은 대전이 ‘연구개발 중심 도시’에서 ‘산업 성장 도시’로 전환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AI 인재 유출 방지와 실질적 기업 투자 유치가 핵심”이라고 지적한다.
기후 위기 대응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매뉴얼 구축이 필요하다. 빠른 착공과 지속적인 예산 점검, 시민과의 소통이 병행돼야 정책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대전=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