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아파트 교통 불편 반복, 개별 대응의 한계…재정 악화·시민 불만이라는 이중고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가운데) [사진= 대전시의회]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가운데) [사진= 대전시의회]

대전시의회는 조원휘 의장이 지난 4일 유성구 신축 아파트 입주민들의 교통 불편 해소에 직접 나서면서 시민 민원에 주목했다고 5일 밝혔다. 하지만 이런 사후적 대응이 반복되는 현실은 대전시 버스 정책의 구조적 부실과 만성적 문제를 그대로 보여준다. 급변하는 도시 환경과 증가하는 교통 수요에 맞춰 정책이 유연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한계가 드러난 셈이다.

◇ 반복되는 교통 불편, 시스템 부재의 증거

조원휘 의장이 지적한 것처럼 대규모 아파트 단지 입주 초기 교통 불편은 반복됐다. 이는 신규 주거단지 교통 수요 예측과 버스 노선 신설·조정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대전시 버스정책과가 준공영제 하에서 시내버스 지원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시민들은 국회의원을 통해야만 민원을 제기하고 부서는 그제야 "세부 사항 검토 중"이라고 답하는 상황이 반복된다. 이러한 현실은 정책이 민원 발생 후 대응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시민 불만은 버스 노선 불합리와 서비스 질 저하를 반복적으로 지적하며 자가용 이용 증가와 시내버스 운영사의 재정 악화라는 이중 부담을 낳고 있다.

◇ 재정 악화와 미래 모빌리티 전환의 걸림돌

문제는 특정 아파트 단지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전시 전체 대중교통 이용률 저하와 버스업체 재정 악화가 맞물리며, 이는 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지고 다시 이용객 감소를 부추기는 악순환을 형성한다.

대전시는 2025년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에 맞춰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할 계획이지만 현재의 경직된 정책 운영으로는 철도와 버스 간 연계와 효율적 전환 과정에서 마찰과 비효율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조원휘 의장의 개별적 민원 대응은 시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긍정적 사례지만, 이러한 대응이 반복되는 사실 자체가 대전시 버스 정책의 총체적 부실과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일회성 해결이 아닌 장기적·유연한 구조 개편과 혁신적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대전= 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