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상담·바우처 확대·K-소비재 전략까지… 현장 애로 해소 총력

[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가 지난 3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국 상호관세 시행에 따른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 7월 31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미국의 15% 상호관세 시행이 본격화되자, 중기부와 중소기업중앙회 공동 설문조사에서 약 63.1%의 기업이 대미 수출 영향을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 관세 지원 3대 프로그램 본격 가동

중기부는 수출 중소기업을 위해 관세 지원 3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먼저 관세 정보 제공과 심층 상담 확대를 위해 중기부·관세청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15개 수출지원센터와 중소기업중앙회, 각종 협·단체를 통해 지역 기업에 신속히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관세 피해 우려 기업에 총 4조6000억원 규모 정책자금과 보증을 신속 지원하며 수출다변화 특례보증은 기존 3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확대한다. 특히 수출바우처 지원 규모를 4200억원으로 확대하고 2026년부터는 105억원 규모의 ‘K-수출물류바우처’를 신설해 국제 운송비와 내륙 운송, 국제특송 비용 등을 상시 지원, 물류 애로 해소에 나선다.

◇ K-소프트파워 활용 수출 경쟁력 강화

중기부는 내수 강소기업의 수출 전환을 돕는 수출기업화 육성모델을 마련하고 K-뷰티 중심의 ‘뷰티 통합 클러스터’ 육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K-뷰티 통합 클러스터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K-뷰티, 패션, 라이프, 푸드 등 성장성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4대 K-소비재 수출전략을 수립하고 국가별 주력품목을 선정해 국내 공공조달에서 검증된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 ‘K-공공조달 국가대표 육성’ 프로그램을 신규 도입한다.

한성숙 장관은 “상호관세 시행에 따른 수출 영향 최소화를 위해 모든 채널을 활용한 신속한 관세·정책 정보 제공과 K-소프트파워 활용 품목 다변화 등으로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