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억 규모 고중량 소방드론·50억 규모 AI 군집 드론 상용화 목표
21일 착수보고회 시작, 산불진화 고중량 드론, 화염 속 3시간 비행 목표

곡토교통부 [사진= 굿모닝경제 조준영 기자]
국토교통부 [사진= 굿모닝경제 조준영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와 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산불진화 특화 고중량 드론'과 '공항 조류대응 AI 드론' 상용화 개발에 착수한다고 21일 밝혔다. 재난 현장과 공항 주변 안전 강화를 목표로 한다. 40일간 공모를 거쳐 엔젤럭스 컨소시엄과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으며 21일부터 본격 과업에 돌입한다.

엔젤럭스 컨소시엄은 2027년까지 3년간 총 115억원 규모로 산불진화 특화 고중량 드론과 기체 운반·급수 특수 차량 개발을 추진한다. 개발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00kg, 최대이륙중량 450kg 이상이며 소화액 등을 싣고 최대 3시간 비행이 가능하다. 화재 초기 대응, 잔불 제거, 경계선 설정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소방 임무 수행이 목표다.

또한 외국에서 운영 중인 유사 기체도 도입해 연구·시나리오 검증·인증 등에 활용한다. 도입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60kg, 최대이륙중량 650kg, 비행시간 2시간의 성능을 갖춘다.

◇ 공항 조류대응 AI 드론, 군집 비행으로 충돌 사고 예방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은 2026년까지 2년간 약 50억원 규모로 AI 기반 조류 탐지·대응 드론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 시스템은 공항 반경 4km 이내에서 조류를 탐지하고 AI가 비행 패턴을 분석한 뒤 군집 드론으로 조류를 감지·추적·소산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실증은 드론 비행시험센터(고성 등)와 무안공항에서 진행된다.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사업으로 다양한 산불진화 대응 수단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중량 소방드론 상용화 성공 시 공공 수요에 맞춘 국산 기체 보급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조류대응 AI 드론 개발로 공항 주변 조류 충돌 사고를 예방하고 항공기 안전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소방청과 산림청 등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실무 태스크포스(TF) 체계도 운영할 계획이다.

세종= 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