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 연합뉴스]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 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분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647개 업무시스템중 551개를 28일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한다.

정부는 오전 9시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고 복구 현황을 점검했다.

김광용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지난 27일 완진 이후 오늘 새벽 5시 30분쯤 항온항습기 복구가 완료됐고, 1전산실부터 6전산실까지 성공적으로 가동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분원 내 네트워크 장비 재가동을 진행해 이날 오전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핵심 보안장비는 전체 767대 중 763대(99%) 이상 재가동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통신· 보안 인프라 가동이 완료되면,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보지 않은 551개 시스템을 차례로 재가동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화재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전산실 시스템 복구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6일 오후 화재로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개는 전날 오후 모두 화재 현장에서 반출을 완료했다.

행안부는 통신·보안 인프라 가동이 완료되면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없는 551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계획이다.

김 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복구되는 551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고 전 상황으로 복구해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굿모닝경제 최희우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