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도안동 차고지 추진' 강도 높게 비판…대안 마련 요구

이재경 대전시의원(국민, 서구3)이 제29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굿모닝경제 조준영 기자]
이재경 대전시의원(국민, 서구3)이 제29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굿모닝경제 조준영 기자]

대전시의회 이재경 대전시의회(국민의힘, 서구3) 의원은 8일 대전시가 추진 중인 굴절버스 차고지 조성 계획을 강하게 비판하며 시민 재산권과 안전을 우선하는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번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시민 생활과 직결된 정책 추진 과정에서의 행정 편의주의와 소통 부재를 날카롭게 지적했다.

◇ 소통 없는 대전시 행정, 재산권 침해 우려

이 의원은 대전시가 서구 도안동 2071번지 일원에 굴절버스 차고지를 추진하는 것은 “시민 재산권 침해”라는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부지가 2015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분양 당시 ‘광장’ 용도로 계획됐음에도 불구하고, 시가 이를 차고지로 변경해 인근 토지의 상업적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매매 계약 무산, 상가·주택 임대 지연, 신축 계획 보류 등 구체적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사전 고지나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밀어붙이는 것은 “시민 재산 보호의 책무를 저버린 것”이라고 꼬집었다.

◇ 중국산 굴절버스 안전성 논란

이 의원은 또한 중국 CRRC사의 전기 굴절버스 도입과 관련해 안전성 검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중국산 배터리 전기버스 화재 사례를 언급하며 “상업·주거 밀집 지역에 차고지가 들어설 경우 화재나 폭발 시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계백로와 맞닿아 있고 트램 노선과 겹치는 입지 특성상 교통 혼잡과 접촉사고 위험 역시 높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대전시가 사법부 판단에 문제 해결을 맡기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행정력 부재를 자인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류 경제도시 대전의 미래는 상생과 협력 위에서 빛나야 한다”며 주민 의견을 경청하고 대체 부지를 재검토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번 발언은 시민 중심의 행정을 강조해 온 이 의원의 소신을 드러내는 동시에, 대전시 교통 정책 추진 과정에서 보다 심도 있는 논의와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대전= 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