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성 반영한 ‘하늘 나는 에어택시’ 상용화 속도…예산·R&D·컨설팅 지원 강화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맞춤형 '충남' [사진=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맞춤형 '충남' [사진= 국토부]

국토교통부가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시범사업의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본격화한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6일 지자체의 특성과 준비 상황에 맞춰 예산 지원은 물론 연구개발(R&D) 연계, 전문기관 컨설팅 등 다각적인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은 지난 4월 공고된 ‘2025년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지원 공모’를 통해 접수된 사업들을 서면평가와 현장실사, 발표평가를 거쳐 마련됐다.

국토부는 K-UAM 시범사업을 지역별 기반과 사업 구체화 정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해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사업 실현 가능성이 높고 계획이 구체적인 지역에는 버티포트 설계와 시범운용구역 지정 등 예산과 제도적 지원을 제공한다.

제주도는 제주공항과 지역 관광지를 연결하는 관광 노선을, 대구와 경북은 산불 감시와 고속도로 사고 모니터링을 위한 공공형 사업을 계획 중이며, 전남과 경남은 남부권 광역 관광 개발계획과 연계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R&D와 실증 연계형 지원은 도심 노선 확장 가능성과 연구 환경 구축이 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울산은 태화강과 울산역을 잇는 UAM 대체 교통망을 계획하고 있으며, 국토부는 버티포트를 구축해 핵심 기술 개발과 실증을 지원한다. 수도권은 인천·김포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 셔틀 노선에 대해 기체 안전성 및 통합 운용성을 시험하는 실증 시설을 마련, 향후 시범사업과 연계한다.

전문 컨설팅 지원형은 UAM 도입 효과와 확산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부산은 교통·관광 통합형 사업을 추진하며 국토부는 버티포트 입지와 주변 장애물 문제 등을 포함한 기술·제도적 컨설팅을 지원한다. 충북은 재난 대응용 헬기 대체 사업을 계획하며,버티포트 입지와 초광역 연계 방향에 대한 컨설팅을 받는다. 그 외 전북, 강원, 충남 등 공모 미신청 지자체에도 컨설팅을 확대해 자체 검토 중인 거점 중심 버티포트 계획 구체화를 돕는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맞춤형 지원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K-UAM 서비스를 창출하고, 도시 하늘을 나는 ‘에어택시’ 시대 상용화를 한층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맞춤형 '서울경기인천' [사진=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맞춤형 '서울경기인천' [사진= 국토부]

세종= 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