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및 유동성 지표 추이. [자료=한은]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추이. [자료=한은]

증시 활황에 9월 시중통화량(M2)가 전월보다 약 30조원 증가해 잔액이 4430조원을 넘어섰다. 6개월 연속 증가세로 M2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9월 코스피가 우상향하면서 증시 투자 대기성 자금이 유입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4430조5000억원으로 전월보다 0.7%(30조3000억원) 늘었다. 다만 상승폭은 지난 8월(1.3%)과 비교해 증가율은 낮았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

(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통상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상품별로는 요구불예금은 전월보다 9조5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3조7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전월보다 6조8000억원 늘었지만 증가폭은 전월(+14조3000억원)보다 줄었다. 수익증권도 같은 기간 5조7000억원 늘었지만 증가폭은 전월(+12조8000억원)보다 축소됐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10조3000억원)과 가계 및 비영리단체(+8조9000억원), 기타 금융기관(+1조8000억원) 등 모두 유동성이 늘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협의통화량 M1은 1330조6000억원으로 전월보다 약 17조8000억원(1.4%)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와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으로 늘었다"며 "수익증권도 증가세를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굿모닝경제 최희우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