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공공기관 직원·기업형 조직까지 포착… 현금 거래·차명계좌·매크로 이용한 은닉 수법 전방위 조사

국세청 [사진=굿모닝경제 조준영 기자]
국세청 [사진=굿모닝경제 조준영 기자]

국세청이 공연·스포츠 입장권 암표 거래로 폭리를 취하고 대규모 탈루를 저질러 온 암표업자들에 대한 강도 높은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최근 일부 블로거가 암표 수익을 조롱하는 글을 올리며 사회적 공분이 커지고 정가 20만원 티켓이 수백만원에 거래되는 등 팬심을 악용한 시장 왜곡이 심각해졌다는 판단이 이번 조사 착수의 배경이다. 국세청은 6일 상위 1% 암표업자가 시장을 지배하는 기형적 구조를 바로잡고 “공정과 상식을 훼손하는 민생침해 탈세를 끝까지 추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 교사·공공기관 직원·기업형 조직 포함 17곳 적발… 200억대 암표 유통 정황

국세청 조사 대상은 사립학교 교사, 공공기관 근무자, 전문 조직형 암표업자 등 총 17곳이다. 이들은 티켓 거래 플랫폼에서 연간 280건을 넘는 판매량을 기록해 탈루 혐의가 짙은 것으로 지목됐다. 국세청은 이들이 최소 수만 건의 거래를 통해 200억원 이상 암표를 유통하며 수익을 은닉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표적인 탈루 방식은 ▲온라인 재판매 후 게시물 삭제를 통한 수익 은닉 ▲대리 티켓팅(댈티) 수수료 과소 신고 ▲매크로 프로그램 판매 ▲대기열 우회 ‘직링’ 판매 등으로 나타났다. 차명계좌 이용, 현금 수취, SNS 비공개 홍보 등 은닉 수법도 조직적으로 활용됐다.

◇ 폭리·은닉·호화생활… 4개 주요 사례로 드러난 실태

국세청은 이번 조사에서 네 가지 대표 사례를 제시하며 암표 시장의 불법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우선 ‘AAA’는 인기 공연·야구 티켓을 정가 대비 최대 15배 가격에 되판 뒤 소득을 신고하지 않고 불명확한 자금 8억원을 예금·부동산으로 축적한 혐의를 받고 있다.

기업형 조직 ‘BBB’는 K-POP 콘서트 티켓을 대량 확보해 정가의 2.5배로 판매, 6년간 4만여장·100억원 상당의 수입을 과소 신고한 정황이 확인됐다. 특수관계인 허위 인건비 지급, 유흥 업소 결제 등 가공 경비 처리도 드러났다.

SNS 기반으로 활동한 ‘DDD’는 명품·공연 티켓을 판매하며 5년간 30억원 신용카드 사용, 35억원 해외주식 매수 등 과다 지출을 했지만 사업자 등록과 수입 신고는 하지 않았다.

대리 티켓팅 업자 ‘EEE’는 건당 10만원 상당의 성공 수수료를 받으며 6개월간 1200여건을 처리했으나 수익 대부분을 신고하지 않고, 은닉 소득으로 12억원 상당의 주식을 취득한 것으로 조사됐다.

◇ 금융추적·FIU 정보 총동원… “암표 탈세, 더는 방치하지 않는다”

국세청은 금융거래 추적과 FIU 정보 분석 등 모든 조사 수단을 활용해 암표 판매와 연계된 현금 거래, 차명계좌, 은닉 재산 여부를 전면 검증한다는 방침이다. 성실신고를 크게 훼손하는 온라인 기반 탈세 관행을 근절하고 과세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의지가 강조됐다.

국세청 관계자는 “팬들의 순수한 마음을 악용해 폭리를 취하고 탈세까지 저지르는 행위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며 “민생침해 탈세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조준영 굿모닝경제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