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25년 9월 수출입물가 및 무역지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내 수입물가와 수출물가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국제유가가 70달러대까지 반등하는 등 전월보다 1% 가까이 오른 가운데, 평균 원·달러 환율이 1400웓내를 위협하는 등 고환율 기조가 이어진 결과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6% 상승했다.

원재료는 원유가 올랐으나 천연가스(LNG)가 내리며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중간재의 경우 1차 금속제품,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와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전월 대비 0.2% 하락 및 0.1% 상승했다.

이는 국제유가와 환율이 상승한 영향이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8월 배럴당 69.39달러에서 9월 70.01달러로 전월 대비 0.9%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4.8% 떨어진 수치다. 원·달러 환율은 9월 기준 1391.83원으로 8월(1389.66원)보다 0.2% 상승했다.

환율 상승세에 힘입어 지난달 수출 물가도 전월보다 0.6% 상승하며 석 달 연속 증가했다. 전년 동월보다는 2.2% 상승했다.

9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5.2%)이 수출가격(-2.1%)보다 더 크게 하락해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 27개월 연속 상승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 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수치다. 순상품교역지수가 개선됐다는 것은 우리나라가 1단위 상품을 수출해서 받은 외화로 이전보다 더 많은 수량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같은 기간 순상품교역조건지수(3.2%)와 수출물량지수(14.4%)가 모두 상승하면서 18.1% 상승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 금액으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다. 해당 지수가 상승하면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능력(수량)이 개선됐다는 의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현재까지 두바이유 가격은 하락하고 있지만, 환율은 전월보다 상승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인다"며 "국내외 여건이 불확실해 이달 수입 물가 전망은 월말까지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굿모닝경제 최희우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