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1%, 3월 1.5% 이어 2회 연속 낮춰···내년은 2.2% 유지
관세 전쟁에 올해 세계 성장률 3.1%서 2.9%로 하향
미국 성장률 2.2%서 1.6%로···중국도 0.1%p 낮춘 4.7%

지난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5%포인트 낮춘 1.0%로 하향 조정했다.

또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기존 3.1%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한 2.9%로 예측했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이같은 내용의 경제전망 발표했다.

OECD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1.0%를 제시했다. 지난해 12월 2.1%에서 올해 3월 1.5%로 하향한 뒤 다시 낮췄다.

OECD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수정치는 다른 기관들과 비슷하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전망치를 지난 2월보다 0.7%포인트 낮춘 0.8%를 제시했다.

OECD의 한국 성장 전망치 하향 폭은 G20 회원국 중 2.2%에서 1.6%로 0.6%포인트 낮춘 미국 다음으로 다음으로 크다.

OECD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는 이미 악화한 내수에 충격을 줬으며, 1분기 국내총생산(GDP)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통령 탄핵이 소비자·기업 신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관세와 국제 무역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수출·투자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또 "한국은 미국과의 직접 무역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을 통한 간접 노출도 크다"며 "한국 정부는 협상을 계속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 보복 관세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이어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와 실질임금 상승에 따라 민간소비는 올해 말부터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은 지난 3월 전망 때와 같은 2.2%로 유지했다.

OECD는 올해 한국 물가상승률을 목표치(2.0%)에 근접한 2.1%로 예상했다. 지난 3월 전망 때보다 0.2%포인트 올렸다. 내년 전망치는 2.0%로 지난 3월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또 내수 부진을 고려해 추가적인 통화정책 완화를 권고했다. 올해 안으로 연 2.0%까지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석 달 전 전망치인 3.1%보다 0.2%포인트 낮춘 2.9%로 예측하면서 내년 성장률도 0.1%포인트 내린 2.9%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1.6%, 내년엔 1.5%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과 무역 긴장을 겪고 있는 캐나다의 올해 성장 전망은 지난해 1.5%에서 1.0%으로, 멕시코는 3개월 전에 비해 회복해 올해와 내년 각각 -1.3%, -0.6%에서 0.4%, 1.1%로 전망했다.

미국과 90일간의 '관세 휴전'에 들어간 중국은 0.1%포인트 내린 4.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엔 4.3%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일본 역시 미국 관세 인상 영향으로 석 달 전보다 0.4%포인트 내린 0.7%로 예상됐다. 내년 성장세는 0.4%로 더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굿모닝경제 이근형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