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명령 등에 서명···업계 반발 수용
車·車부품 관세는 다른 관세와 중복적용 않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cdn.goodkyung.com/news/photo/202504/263116_231559_150.jpg)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산 부품을 활용해 미국에서 생산하는 자동차에 대해 2년간 부품 관세를 완화해주기로 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25% 부품 관세 충격을 일부 상쇄해주는 조치다. 자동차 업체들이 관세 부과에 반발하자 이를 수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르면 미국에서 조립·생산된 차량에 대해 제조업체가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크레딧(credit)’을 부여받는다. 이 크레딧은 향후 부품을 수입할 때 적용해 관세부담을 낮출 수 있다. 차량당 부품의 15% 정도를 관세 없이 수입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시행 1년 차에는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크레딧이 부여되는데, 이는 기존 부품 관세 25%를 약 3.75%포인트 낮추는 효과가 있다. 2년 차에는 크레딧이 10%로 축소된다. 이후 이 크레딧은 종료된다.
미국 행정부는 2년이면 자동차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조치는 자동차 부품 관세가 다른 품목별 관세(철강·알루미늄 관세 등)와 중복 부과되지 않도록 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25% 관세와 철강·알루미늄 관세 중 더 높은 쪽 하나만 납부하면 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오는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으로도 관세 부과를 확대할 예정이었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부품 관세까지 중첩 적용되면 부품 조달 비용이 급등해 생산 차질과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반발해왔다.
굿모닝경제 이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