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탈현장 건설 OSC 방식 부상
‘인력난, 안전사고, 건설품질 하자’ 등 해결책으로 주목받아
 ‘인증제도 설계‧공공부문 마중물 역할’ 필요성 등 제기 

공중에서 바라본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공중에서 바라본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최근 건설현장에서 안정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건설 방식으로 OSC(Off-Site Construction)가 주목받고 있다. 정치권과 전문가 그룹, 건설업계에서는 건설산업이 직면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OSC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OSC는 ‘탈현장 건설’을 의미한다. 기존 방식이 자재, 장비 등 모든 건설 자원을 현장으로 운반해 작업을 진행했다면, OSC는 시설물을 생산 환경이 안정적인 곳에서 사전에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새로운 건설 방식이다.

OSC는 시설물의 주요 구조부를 만드는데 어떤 재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PC(Precast Concrete)‧경량철골‧목재 방식 등으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PC‧경량철골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PC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만들어 그곳에 콘크리트를 흘려 붓는 방식이 아니라 콘크리트 건축자재를 공장생산화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 공장에서 생산한 경량철골 기반의 입방형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두고는 모듈러 공법이라고 칭한다. 

◇ 건설현장 난제 수두룩… “해결 방안으로 OSC에 세계적 관심”

20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과 사단법인 대한건축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토론회에서는 OSC 활성화로 건설현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엄태영 의원은 “현재 건설업계는 기능인력 부족과 노령화, 고용 안정성, 건설안전사고, 건설품질 하자, 외국인 근로자 문제 등의 이슈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새로운 건설생산 방식인 OSC에 대한 열띤 연구가 OSC 확산을 통한 국내 건설산업의 혁신과 공동주택공급의 대안 제시 등 많은 성과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설업계는 그동안 안전사고, 건설품질 하자, 소음으로 인한 민원 등 고질적인 문제로 시달려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동향브리핑890호’에 따르면 2021년 전체 산업사고 사망자 828명 가운데 절반인 50.4%(417명)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이 지난해 2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토교통부 하자심사 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아파트 하자신고만 총 2만4285건이었다. 

이와 함께 건설현장의 고령화도 심각한 수준이다. 건설근로자공제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0월 기준 60대 이상 근로자 비중은 전체의 25.4%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고 기록이다. 특히 건설기능인력의 40대 이상 비중은 84.1%로 전 산업 취업자의 40대 이상 비율(65.9%)에 비해 18.2%포인트나 높았다. 

OSC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탈현장’ ‘공장 생산 및 현장 조립’이다. 건설업을 제조업화하는 것으로 건설 인력 문제 해결, 품질 향상, 공기 단축, 기후 의존도 약화, 건설현장 안전사고 감소, 소음 문제 해결 등이 장점으로 거론된다.

대한건축학회 최창식 회장은 “지금까지 추진해 온 현장 중심의 생산 방식으로는 건설업계의 이슈들을 해결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건설업계와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해결 방안을 모색해왔다”며 “그 성과 중 하나로 OSC가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20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건설산업 OSC 활성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김희원 기자]
20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건설산업 OSC 활성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김희원 기자]

◇ “인증제도 설계, 정책‧법규적 지원책 필요” 

국토교통부는 2020년 출범시킨 OSC 연구단을 중심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 OSC 기술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강태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PC 제조기업 자체 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최근 물류시설, 지하주차장 등의 호황으로 건축 PC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기는 했으나 202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건축 PC시장 점유율은 전체 건축시장 150조원 중 약1%인 1조4000억원 수준이었다.  

해외의 경우는 OSC 건설이 활발하다. 뉴질랜드는 2017년 주택공급정책 중 하나로 10만채 OSC 주택공급 계획을 추진했다. 싱가포르는 OSC 비중을 2017년 20%에서 2020년 40%까지 달성했으며 2030년에는 7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캐나다 건설사들도 OSC 기술을 도입해 인력의 효율적 운용과 안전사고 최소화 등을 꾀하고 있다.  

이에 OSC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적, 제도적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 OSC연구단 이준성 단장은 “OSC 기반의 건설생산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시공은 물론, 설계, 엔지니어링, 자재생산, 운송을 포함한 건설 생산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기술적, 제도적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강태경 연구위원은 OSC 기반의 PC공동주택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이 마중물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공공 발주물량을 2025년까지 2460세대, 2030년까지 9840세대까지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건설기술진흥법을 개정해 PC공장인증제도를 도입하고 PC공사 실적관리 체계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유정호 교수는 올해 민관연 협동 ‘태스크 포스팀’을 구성해 ▲건설현장의 인력 부족 현황 진단 ▲해외 주요 핵심기술 벤치마킹 ▲중장기 대처 방안 로드맵 작성 등의 성과를 도출해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2024년부터 2028년까지 ▲OSC의 사전제작부품 인증제도 설계 ▲정책 및 법규적 지원책 마련 ▲OSC 자재의 재활용 방안 연구 등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굿모닝경제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